민방위 연차 조회 및 훈련 연차확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대한민국 남자라면 빼놓을수 없는게 군대입니다. 군대를 가든 못가든 신체적 큰 장애가 없다면 누구나 민방위 훈련 및 교육을 이수하셔야 합니다. 민방위의 정의와 본질은 적의 무력침공이나 자연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며 지도하에 주민이 수행하여야 할 방공, 응급적인 방재, 구조복구 및 군사 작전상 필요한 노력 지원 등의 모든 신체적 활동을 말합니다.
민방위 연차 조회를 하기위해 각 포털사이트에 '민방위'를 검색해서 해당 홈페이지를 들어갑니다. 그런다음 두번째칸 교육,훈련에 교육일정을 클릭하여 줍니다.
여기서 자신의 연차를 알아보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는데 첫째, 국민재난안전포털 교육담당과 연락처를 통해 문의해보는 방법이 있습니다. 아래 보시면 [교육담당과 연락처 바로가기] 버튼을 눌려 시도를 선택하고 시군구를 선택하시고 읍면동을 선택하시면 담당부서와 연락처를 확인후 민방위 연차 확인이 가능합니다.
민방위 연차조회 두번째 방법은 지역구분에 해당시를 검색->시군구선택->읍면동선택 후 검색기간을 3개월까지 조회가 가능합니다. 제경우 인천 부평구 부평1동을 검색해보니 4월달 부터 5월, 6월까지 민방위 1년~4년, 5년차이상 일정이 잡혀져 있고 장소 및 시간 까지 등재가 되어있네요.
민방위 훈련 및 교육 통지서는 자택에 우편으로 오기도 하지만 간혹 누락되는 경우도 발생하더라구요. 재작년쯤에 한번 그런적이 있었는데, 그래서 주위에는 받았다고 해서 혹시나 알아보았더니 역시나 누락이 되어서 부랴부랴 간 기억이 있습니다. 여러분도 여름이 되기전까지 안 날라온다면 저처럼 이렇게 한번 학인을 해 보시기를 바랍니다.
민방위 현지 교육 안내를 보면, 주민등록지가 아닌 현 거주지에서도 받을 수 있다고 나오는데요. 거주지 지역의 교육일정을 필히 검색하셔서 거주지 관할 시.군.구청에 해당하는 민방위 담당자에게 해당 교육일정에 대해서 확인한 다음 교육일 일정당일 신분증을 소지하고 참석을 하셔야 합니다. 민방위 연차는 대개 두 종류인데 1~4년차 대원은 연1회, 4시간 교육을 이수하시고, 5년차 이상 대원은 연1회 비상소집훈련 1시간으로 대체합니다. 물론 신편대원도 1년차에 해당됩니다.
민방위 훈련 - 주의사항
교육참가증에 필히 동장을 받고 도장을 받은 참가증은 이후 1년동안 보관하거나 스마트폰으로 찍어서 보관을 하셔야 합니다. 그 이유는 가끔씩 행정처리가 제대로 안되어서 누락되기 때문입니다. 민방위훈련 불참시에는 1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니 아까운 생돈 날리는 일 없도록 민방위 연차 조회 확인후 필시 받으시길 바랍니다.
'지식정보 > 생활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본적 확인방법 인터넷으로 등록기준지 조회 (0) | 2017.04.04 |
---|---|
한글이 안쳐져요 한글이 안쳐질때 따라해보기 (0) | 2017.04.03 |
생활속 유용한 정보 10가지 꿀팁 (0) | 2017.03.31 |
헌 양말 한쪽 활용법 (0) | 2017.03.30 |
범칙금 과태료 벌금 어떤차이? (0) | 2017.03.29 |